 |
요즘 컴퓨터를 사용하다보면
스파이웨어니 바이러스 등의 악성코드 때문에 컴퓨터 사용하기가
무서우시죠?
그리고 어디서 어떻게 백신프로그램들을 구입해야 할지 또
어떻게 사용하는 건지 가격은 얼마인지 등...
그래서 비즈소프트에서는 이런 고객님들을 위해 악성코드와
바이러스 치료프로그램을 무료로 다운받아 사용 할 수 있는
사이트를 알려드리고 있습니다.
안전한
PC사용 환경을 만들기 위한 작은 투자 바로 치료프로그램을
이용한 지속적인 관리입니다. |
|
|
 |
|
 |
|
|
악성코드나
바이러스 치료프로그램은 한가지 보단 두세 가지를 동시에 이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나의 프로그램으로 만으로 모든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를 검색하고 치료하지 못합니다.
물론 두세 가지를 사용하신다 해도 모든 악성코드나 바이러스를 검색하고 치료하지
못합니다. 하지만 좀 더 많은 악성코드와 바이러스를 검색하고 지료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집니다. (실시간 검사 기능은 하나의 프로그램만을 정하시고 나머지는
환경설정에서 실시간 감시 기능을 선택하지 않으시면 백신 프 로그램들 간의 충돌현상은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위
프로그램은 개인사용자인 경우 무료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링크된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비즈소프트는 고객님들에게 단순히 정보 제공을 해드리는 것입니다. |
|
|
 |
악성코드가
도대체 뭐죠? |
쉽게 말하자면 악의적인 목적을 위해 작성된 실행
가능한 코드의 통칭으로 자기 복제 능력과 감염 대상 유무에 따라 바이러스,
웜, 트로이목마 등으로 분류되는 것들을 말합니다.
바이러스와 스파이웨어는 가장 대표적인 악성코드입니다. 바이러스나 웜은 주로
파일, 메일, 네트워크를 통해 감염되고 사용자PC의 파일 및 시스템을 손상시키거나
PC사용 시 많은 불편을 줍니다.
스파이웨어 그레이웨어는 사용자 몰래 PC에 설치되거나 동의를 얻고 설치된 후
금전적 이득을 목적으로 악의적인 행위를 하는 악성코드입니다.
악성코드는 신기술을 이용하여 끊임없이 진화하고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 PC에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킵니다. 따라서 개인PC 사용자나 업체에서는 무엇보다 자신의
PC를 악성코드의 위험으로부터 적극적으로 보호하여야 합니다.
잘 모르시겠다고요? 그럼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까요? |
|
|
바이러스
란? |
컴퓨터의 프로그램이나 실행 가능한 부분을 변경하고자
자기 자신 또는 자신의 변형을 복사하여 컴퓨터 작동에 피해를 주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말합니다.
바이러스는 부트 바이러스, 도스 바이러스, 파일 바이러스로 구분되지만, 보통의
컴퓨터 사용자들은 웜, 트로이 목마, 백도어, 해킹 툴 등을 모두 바이러스라고
통칭하여 부르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전문 바이러스 엔진이 탑재된 백신 프로그램으로 검사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
|
|
스파이웨어
란? |
다른 사람의 컴퓨터에 잠입하여 중요한 개인정보를
빼가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사용자가 설치된 사실을 모르거나 정확한 용도를 모르는 상태에서 컴퓨터에 설치돼
광고화면을 강제로 보여주거나, 사용자의 정보를 빼돌려 악의적인 목적으로 이용하는
악성 프로그램들이며 전문 스파이웨어 엔진이 탑재된 백신 프로그램으로 검사하고
치료해야 합니다.
정보통신부가 2005년 8월 발표한
'스파이웨어 기준'의 기준
웹브라우저의 홈페이지 설정이나 시스템 설정을 변경
정상 프로그램의 운영을 방해ㆍ삭제
정상 프로그램의 설치를 방해
다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
운영체계의 보안설정을 낮게 변경
이용자가 프로그램을 제거하지 못하도록 막는 프로그램
키보드 입력ㆍ화면표시 내용을 임의로 수집, 전송하는 행위 등 7가지입니다. |
|
|
애드웨어
란? |
웹브라우저 이용 시, 광고 보는 것을 전제로
하여 무료로 공급되는 프로그램입니다.
그러나 사용자도 모르게 개인의 정보가 제3자에게 전송되거나 스파이웨어로 인정받아
컴퓨터 안전과 개인정보 보호가 침해될 수 있습니다. 최근의 애드웨어는 스파이웨어처럼
악성행위를 하는 형태로 많이 제작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를 요합니다. |
|
|
그레이웨어
란? |
스파이웨어, 애드웨어와 동일하나 합법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하여 사용자 동의에 의해 설치되어진 소프트웨어입니다.
최근의 그레이웨어는 사용자에게 설치동의를 얻고 나면 동의한 내용과 다른 악의적인
행위를 일으키는 형태로 늘어나고 있어 사용자의 주의를 요합니다. |
|
|
|
|